- 저자수잔 크레이그, 김현수
- 발행일2020-01-10
- 분야교육철학 · 교사성장
- 정가15,000원
서문
들어가며
1장 트라우마 공감학교 만들기-학교 변화를 위한 자원
2장 학생들의 트라우마 다루기-교육개혁이 놓치고 있는 요소
3장 애착의 신경학-돌봄의 중요성
4장 트라우마가 학습 의욕에 미치는 영향-트라우마와 인지 발달
5장 트라우마 공감학교의 교사-상처받은 아이들을 위한 새로운 수업과 활동 디자인
6장 자연이 주는 또 한 번의 기회-성찰하는 뇌 만들기
7장 교사의 상처와 소진-교사에게 일어나는 감정 손상 인지하기
8장 진보하는 학교-트라우마 공감학교를 향한 변화 준비하기
부록: 교사 연수를 위한 자료/ 당신의 ACE 점수는?
옮기고 나서참고문헌찾아보기
#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이야기수 |
---|
#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열람수 |
---|
신경과학과 교육학의 만남
어릴 적 트라우마는 아이들의 학업적·사회적 성공을 위협하는 발달상 결함의 패턴들과 긴밀한 인과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나 어른들이 트라우마 입은 아이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면 그것을 극복할 기회를 열어줄 수 있다. 교사들은 이 책을 통해 트라우마를 입은 아이들과의 관계 맺기 전략을 비롯해 문제행동의 재발과 반항을 반복하지 않게 돕는 전략을 안내받을 수 있다.저자는 아이에게 애착 관계의 경험이 왜 중요한지, 트라우마 입은 아이들이 학교 안에서 긍정적 애착 관계를 경험하게 돕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인식하고 그런 교육적 실천을 해나갈 교사를 사회적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시스템의 구축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역설한다. 트라우마 입은 아이들의 성취감과 자의식 발달을 도울 세분화한 개입 시스템과 시스템적 통합을 촉진하는 활동을 상세하게 안내하면서 이런 활동이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아이들에게 어떤 도움을 주는지도 밝혀주고 있다. 트라우마 입은 아이들은 기본적으로 자기조절에 취약하기 마련인데 그런 아이들에게 적합한 이런 활동들은 자기조절 능력을 담당하는 신경통로를 강화해준다.
이차피해 방지 시스템
트라우마를 겪은 아이들과 함께하는 교사들은 끝없는 정서적 희생을 요구받는다. 이는 학교를 떠나는 교사의 증가 현상과도 관련이 있다. 저자는 트라우마 입은 아이들을 다루는 데 실패하는 교사들의 어려움에 공감하면서 트라우마의 전염성을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는 훈련이 필요함을 강조한다. 교사의 회복력 증진을 위한 시스템적 지원에 대해서도 섬세하게 다룬다. 트라우마에 공감하는 학교로 변화하기 위한 도전에는 무척 복잡하고 섬세한 고려사항이 뒤얽히기 마련이다. 교사들의 열정만으로는 불가능한 일이다. 저자는 트라우마 공감학교로 변화하는 과정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그 변화 과정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재원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다. 지역과 현장에서 리더십의 역할, 과정 평가와 학생의 성과 평가의 필요성도 놓치지 않는다.
공감하는 것으로 시작하기
트라우마와 학습에 관련된 최신의 논의들을 망라하고 있지만 이 책이 그 문제에 대한 모든 답을 제시할 수는 없다. 해마다 다양하고도 새로운 문제를 가진 아이들이 등장하는 공립학교의 위기는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며 이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 같이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풀어갈 실마리를 얻는 것으로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 진정한 학교 개혁의 길을 걷기 위해 교육자에게 필요한 것은 신경과학을 통한 통찰력으로 아이들의 학업적, 사회적 능력을 저해하는 장벽을 꿰뚫어 보는 능력일 것이다. 이 책의 목표는 바로 교육자들에게 그러한 길을 알려주는 가이드가 되어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