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권┃고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작가의 말
등장인물 소개
프롤로그 역사란 무엇인가
CHAPTER 1 역사의 시작과 고대 사회
01 구석기 시대_돌을 깨뜨려 도구로 쓴 인류
02 신석기 시대_농사와 목축의 시작
03 문명의 탄생_문화의 발전으로 풍요를 누리는 인류
04 고대 시대_고전 문화의 탄생
05 단군신화_고조선의 건국
06 철기 시대_다양한 국가의 등장
07 불교의 전파_삼국 문화에 미친 불교의 영향
08 고구려_넓은 영토를 쟁취한 군사력
09 백제_이웃 나라와의 문화 교류
10 신라_통일의 발판이 된 한강 점령
11 삼국통일_하나의 국가가 된 한반도
12 통일신라_찬란하게 꽃피운 문화
13 발해_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어우러져 번영한 ‘해동성국
’CHAPTER 2 중세 사회의 발전
14 중세 시대_세계 곳곳의 전통문화
15 고려_태조 왕건의 후삼국 통일
16 과거 제도의 도입_고려의 왕권 강화 정책
17 유교 사상_고려 정치의 뿌리가 된 유교
18 고려와 거란의 전쟁_서희와 강감찬의 활약
19 이슬람_한반도에 남긴 교류의 흔적
20 문벌_부와 권력의 독점으로 생긴 폐단
21 서경천도_문벌 약화를 위한 정책
22 무신정변_차별당하던 무신들의 반란과 권력 쟁취
23 고려와 몽골의 전쟁_힘을 합친 고려군과 민중
24 원나라의 간섭_100년간 이어진 간섭과 권문세족의 등장
25 조선의 탄생_고려의 멸망과 이성계의 조선 건국
CHAPTER 3 근세 사회의 변화
26 하나로 묶인 세계_국제교류의 시작
27 성리학_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사상
28 세종대왕_수많은 업적과 위대한 정책
29 경국대전_조선의 제도 법제화
30 사대외교_조공과 책봉으로 맺어진 동아시아의 국가 관계
31 사림_훈구와 대립하여 네 번의 화를 입다
32 붕당의 형성_서원과 향약으로 힘을 키운 사림의 분열
33 임진왜란_7년의 상처를 극복하고 얻은 값진 승리
34 병자호란_청나라의 침입과 굴욕적인 항복
35 탕평정치_붕당 간의 균형 유지를 위한 노력
36 조선 후기의 농업 발달_사회 변화의 서막
37 조선 후기의 상공업 발달_시장 규모의 확대와 화폐 등장
38 실학_성리학을 비판하며 등장한 새로운 학문
39 세도 정치_권력을 쥔 외척 세력
CHAPTER 4 개항과 근대의 시작
40 근대 시대_산업혁명과 시민혁명으로 열린 근대사
41 흥선대원군_왕권 강화와 교역 거부
42 강화도 조약_불평등 조약을 통한 강제 개항
43 임오군란_차별당하던 구식 군인의 반란
44 갑신정변_조선의 자주독립과 근대화를 향한 시도
45 동학농민운동_개혁에 앞장서고 침략에 저항한 전봉준
46 갑오개혁_일본의 간섭에 저항하며 근대 국가의 길을 열다
47 독립협회_민중과 함께한 독립운동
48 대한제국_황제가 된 고종의 독립과 개혁 추진
49 을사조약과 경술국치_빼앗긴 국권
50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_나라를 지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