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강대일, 정창규
- 발행일2019-06-14
- 분야수업개선 · 학교혁신
- 정가15,000원
공감 0
·
공유 0
익숙한 만큼 낯선 수행평가를 되돌아보다!
<평가란 무엇인가>와 <과정중심평가란 무엇인가>로 평가에 천착해온 저자들이 이번에는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수행평가를 들여다보았다. 1997년, 서울시교육청 과제로 채택되어 교육현장에 들어온 수행평가는 1998년 교육부의 ‘새 학교문화 창조’ 비전 중 하나로 발표될 만큼 새로운 평가방식으로 주목받으며, 1999년 전국에 일제히 도입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수행평가가 전국적으로 도입된 이유는 일률적이고 단편적인 지식 위주의 평가인 지필평가에서 벗어나 관찰, 실험, 실습, 구술, 토론, 연구보고서, 포트폴리오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총체적인 평가를 하자는 취지였다. 20년의 시간이 흐르는 동안 수행평가는 교사와 학생, 학부모 모두에게 익숙한 평가가 되었지만, 정말 ‘총체적 평가’라는 말에 부합되게 운용되고 있는지 돌아보면 쉽사리 그렇다고 대답하기 어렵다. 그래서 수행평가의 도입개념과 개념, 방법을 바로 알고 운용 사례까지 집성하여, 익숙한 만큼 낯선 수행평가를 처음부터 되돌아보고 다시 제대로 실천해보자고 제안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들어가며
1장·수행평가란 무엇인가
가. 수행평가의 도입배경
나. 수행평가의 개념 및 특징
다. 수행평가 문항제작 절차
라. 수행평가와 과정중심평가
마. 수행평가 시 유의점
2장·수행평가방법
가. 수행평가 기록 방법
-체크리스트
-평정척도법
-일화기록법
나. 평가자에 따른 방법
-자기 평가
-동료 평가
다. 평가 장면에 따른 방법
-논술
-구술
-토의
-토론
-실기
-보고서법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3장·수행평가 문항 제작하기
가. 수행평가의 구성
나. 평가기준
4장·수행평가 문항 사례
가. 국어
나. 사회/도덕
다. 수학
라. 과학/실과
마. 예술
5장·수행평가를 위한 제언
가. 평가 신뢰도 확보 방안
나. 학급평가계획의 중요성
다. NEIS의 변화 필요성
마치며
#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이야기수 |
---|
#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열람수 |
---|
카테고리 인기 도서